반응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기업, 청년이 공동으로 적립금을 마련하는 제도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을 끝으로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고, 2025년부터는 기존 가입자만 만기 수령이 가능합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요
- 운영 기간: 2024년까지 신규 가입 가능 (2025년부터 신규 가입 중단)
- 적립 구조:
- 청년: 2년간 300만 원 납입 (월 12.5만 원)
- 기업: 2년간 300만 원 납입 (기업 규모에 따라 정부 지원 포함)
- 정부: 2년간 600만 원 지원
- 만기 수령액: 총 1,200만 원 + 이자
- 신청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 시 최대 39세까지 연장)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 고용보험 가입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신규 가입 중단: 2025년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
- 기존 가입자 혜택 유지: 2024년까지 가입한 청년은 기존 조건에 따라 만기 시 적립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 대체 제도 도입: 청년내일채움공제 종료에 따라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등의 대체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 대체 제도: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종료 이후,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가 도입되었습니다.
- 운영 기간: 3년 또는 5년형 선택 가능
- 적립 구조:
- 청년: 5년간 720만 원 납입 (월 12만 원)
- 기업: 5년간 1,200만 원 납입 (월 20만 원)
- 정부: 3년간 1,080만 원 지원
- 만기 수령액: 총 3,000만 원 + 이자
- 신청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 시 최대 39세까지 연장)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 고용보험 가입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신청 기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 신청 방법: 청년공제 청약 누리집(www.sbcplan.or.kr)에서 온라인 신청
- 유의사항:
- 신청 기한을 놓치면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 중도 퇴사 시 본인 납입금은 반환되지만, 기업 및 정부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기업의 부담금 납입이 필수이며, 미납 시 참여가 제한됩니다.
🎯 마무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4년을 끝으로 종료되었지만,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체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므로, 일정에 맞춰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청년공제 청약 누리집(www.sbcplan.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