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내일채움공제 변경사항 (2025년 대체제도 필수 확인)

by 알쓸정보씨 2025. 4. 15.
반응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기업, 청년이 공동으로 적립금을 마련하는 제도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을 끝으로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고, 2025년부터는 기존 가입자만 만기 수령이 가능합니다.

alt="청년내일채움공제에 관련된 태블릿 설명과 서류 자료"
Image by  Pexels  from  Pixabay

 


✅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요

  • 운영 기간: 2024년까지 신규 가입 가능 (2025년부터 신규 가입 중단)
  • 적립 구조:
    • 청년: 2년간 300만 원 납입 (월 12.5만 원)
    • 기업: 2년간 300만 원 납입 (기업 규모에 따라 정부 지원 포함)
    • 정부: 2년간 600만 원 지원
  • 만기 수령액: 총 1,200만 원 + 이자
  • 신청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 시 최대 39세까지 연장)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 고용보험 가입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신규 가입 중단: 2025년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
  • 기존 가입자 혜택 유지: 2024년까지 가입한 청년은 기존 조건에 따라 만기 시 적립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 대체 제도 도입: 청년내일채움공제 종료에 따라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등의 대체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alt="청년내일채움공제 대체제도를 안내하는 이미지"

🆕 대체 제도: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종료 이후,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가 도입되었습니다.

  • 운영 기간: 3년 또는 5년형 선택 가능
  • 적립 구조:
    • 청년: 5년간 720만 원 납입 (월 12만 원)
    • 기업: 5년간 1,200만 원 납입 (월 20만 원)
    • 정부: 3년간 1,080만 원 지원
  • 만기 수령액: 총 3,000만 원 + 이자
  • 신청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 시 최대 39세까지 연장)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 고용보험 가입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1. 신청 기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2. 신청 방법: 청년공제 청약 누리집(www.sbcplan.or.kr)에서 온라인 신청
  3. 유의사항:
    • 신청 기한을 놓치면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 중도 퇴사 시 본인 납입금은 반환되지만, 기업 및 정부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기업의 부담금 납입이 필수이며, 미납 시 참여가 제한됩니다.

alt="청년내일채움공제와 혜택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이 모여서 걸어가는 모습"
Image by  Mircea Iancu  from  Pixabay

🎯 마무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4년을 끝으로 종료되었지만,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체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므로, 일정에 맞춰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청년공제 청약 누리집(www.sbcplan.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